티스토리 뷰
스마트 장기요양 앱설치 방법, 업데이트 일정, 주요 기능 지금 확인하세요
평생교육@ 2025. 9. 12. 11:34
스마트 장기요양 앱설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를 디지털화한 핵심 절차입니다. 요양보호사, 수급자, 보호자, 기관 관리자 모두가 이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서비스 내용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되면서 서비스의 투명성과 효율성이 크게 높아졌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앱 설치 방법, 주요 기능, 문제 해결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스마트 장기요양 앱이란?
스마트 장기요양 앱은 방문요양·방문목욕·방문간호 서비스 내용을 RFID 기술을 통해 전송·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.

- 요양요원: 서비스 일정 조회 및 전자태그 전송
- 수급자 및 보호자: 실시간 서비스 확인, 알림 수신
- 기관 관리자: 전반적인 서비스 모니터링

설치 및 업데이트 방법
앱 설치는 기기별로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.
- 안드로이드: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‘스마트장기요양’ 검색 후 다운로드
- iOS: 앱스토어 직접 검색 설치 혹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설치 진행
설치 일정
|
구분 |
일정 |
|
다운로드 시작 |
2025년 6월 2일 |
|
기존 앱 사용 중단 |
2025년 6월 20일 18:00 |
|
신규 앱 사용 시작 |
2025년 6월 23일 00:00 |
|
인증서 등록 가능 |
2025년 6월 22일 12:00 |
주요 개선사항
2025년 리뉴얼을 통해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습니다.
- 보안 강화: 건강보험·금융·공동인증서 본인인증, 생체인증 로그인 도입
- 편의성 향상: Wi-Fi 접속 허용, 모의화면 체험 기능 제공
- 기능 확장: 업무일지 모바일 입력, 전자서명, 태그 위치 사진 전송, 모바일 서식 확대
사용자별 주요 기능
- 요양요원
- 서비스 일정 조회
- 전자태그 시작·종료 전송
- 방문간호 지시서 조회
- 수급자(보호자)

- 서비스 시작·종료 시 푸시 알림
- 실시간 서비스 이력 확인
- 급여제공 계획 및 기록지 모바일 열람
설치 시 문제 해결
- 앱 검색 불가 시: 휴대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후 플레이스토어 캐시 삭제
- 서비스 초기 오류 대응: 2025년 6월 20일 ~ 7월 6일 사이 전자태그 전송 실패 시 수기 기록지 작성 허용, 헬프데스크 핫라인 운영

기관 및 사용자 등록 절차
- 재가기관: 온라인 참여 신청 및 태그 신청
- 운영센터: 태그 접수, 등록, 부착
- 기관: 단말기 등록 및 앱 설치
- 사용자: 본인인증 및 비밀번호 설정
- 서비스 시작: 급여내용 전송 및 확인
활용 현황 및 평가
- 사용자 수 : 약 50만 명 이상
- 구글 플레이스토어 평점 : 2.8점
- 투명성·효율성 강화 효과로 현장에서 필수 도구로 활용 중
스마트 장기요양 앱설치는 단순한 설치 절차를 넘어 노인 장기요양보험 서비스를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핵심 도구입니다. 2025년 리뉴얼 이후 보안과 편의성이 크게 강화되었으며, 요양보호사와 보호자 모두 실시간 확인이 가능해졌습니다. 앞으로 이 앱은 장기요양 서비스의 신뢰성과 품질을 한 단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

앱

댓글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