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 

스마트 장기요양 앱설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를 디지털화한 핵심 절차입니다. 요양보호사, 수급자, 보호자, 기관 관리자 모두가 이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서비스 내용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되면서 서비스의 투명성과 효율성이 크게 높아졌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앱 설치 방법, 주요 기능, 문제 해결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 

 

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보험

 

스마트 장기요양 앱이란?

스마트 장기요양 앱은 방문요양·방문목욕·방문간호 서비스 내용을 RFID 기술을 통해 전송·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.

 

  • 요양요원: 서비스 일정 조회 및 전자태그 전송
  • 수급자 및 보호자: 실시간 서비스 확인, 알림 수신
  • 기관 관리자: 전반적인 서비스 모니터링

 

설치 및 업데이트 방법

앱 설치는 기기별로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.

  • 안드로이드: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‘스마트장기요양’ 검색 후 다운로드
  • iOS: 앱스토어 직접 검색 설치 혹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설치 진행

 

설치 일정

구분

일정

다운로드 시작

2025년 6월 2일

기존 앱 사용 중단

2025년 6월 20일 18:00

신규 앱 사용 시작

2025년 6월 23일 00:00

인증서 등록 가능

2025년 6월 22일 12:00

 

주요 개선사항

2025년 리뉴얼을 통해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습니다.

  • 보안 강화: 건강보험·금융·공동인증서 본인인증, 생체인증 로그인 도입
  • 편의성 향상: Wi-Fi 접속 허용, 모의화면 체험 기능 제공
  • 기능 확장: 업무일지 모바일 입력, 전자서명, 태그 위치 사진 전송, 모바일 서식 확대

 

사용자별 주요 기능

  1. 요양요원
    • 서비스 일정 조회
    • 전자태그 시작·종료 전송
    • 방문간호 지시서 조회

     

  2. 수급자(보호자)
  • 서비스 시작·종료 시 푸시 알림
  • 실시간 서비스 이력 확인
  • 급여제공 계획 및 기록지 모바일 열람

설치 시 문제 해결

  • 앱 검색 불가 시: 휴대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후 플레이스토어 캐시 삭제
  • 서비스 초기 오류 대응: 2025년 6월 20일 ~ 7월 6일 사이 전자태그 전송 실패 시 수기 기록지 작성 허용, 헬프데스크 핫라인 운영

 

기관 및 사용자 등록 절차

  1. 재가기관: 온라인 참여 신청 및 태그 신청
  2. 운영센터: 태그 접수, 등록, 부착
  3. 기관: 단말기 등록 및 앱 설치
  4. 사용자: 본인인증 및 비밀번호 설정
  5. 서비스 시작: 급여내용 전송 및 확인

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보험

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

 

활용 현황 및 평가

  • 사용자 수 : 약 50만 명 이상
  • 구글 플레이스토어 평점 : 2.8점
  • 투명성·효율성 강화 효과로 현장에서 필수 도구로 활용 중

아이폰 스마트 장기요양 앱 설치하기

스마트 장기요양 앱 안내 영상

스마트 장기요양 앱설치는 단순한 설치 절차를 넘어 노인 장기요양보험 서비스를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핵심 도구입니다. 2025년 리뉴얼 이후 보안과 편의성이 크게 강화되었으며, 요양보호사와 보호자 모두 실시간 확인이 가능해졌습니다. 앞으로 이 앱은 장기요양 서비스의 신뢰성과 품질을 한 단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

 

 

 

댓글